본문 바로가기

『소년이 온다』 – 우리가 외면했던 진실, 한 소년의 이름으로 기억하다

728x90
반응형

 

세상에는 반드시 말해야 하는 이야기들이 있다.
그리고 그 말은 누군가에게는 너무 늦었고, 누군가에게는 아직도 고통스럽다.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는 그 ‘말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문학이라는 언어로 써 내려간 작품이다.
광주의 5월, 들리지 않는 울음과 들키지 않은 죽음을 다시 꺼내 들며, 작가는 우리에게 묻는다.
"당신은, 그날의 소년을 기억하나요?"


■ 침묵과 외면 속에서 울리는 낮은 목소리

『소년이 온다』는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이 소설은 단지 역사적 사건을 서술하는 데 머물지 않는다.
한강은 소년 ‘동호’의 시선을 통해 그날의 광주를 경험하게 한다.
그리고 그 소년을 기억하는 사람들의 고백을 이어 붙이며, 독자로 하여금 한 편의 집단적인 애도와 고통을 체험하게 만든다.

작품은 1인칭과 2인칭 시점이 교차하며 진행된다.
죽은 자가 말하고, 남은 자가 듣는다.
이 구조는 문학적으로 매우 독특하면서도, 독자에게 더 깊은 몰입감을 선사한다.
그 속에서 우리는 단순한 관찰자가 아닌, 책임 있는 기억자로 변한다.


■ 소년은 죽었지만, 이야기는 살아 있다

주인공 동호는 열다섯의 평범한 소년이다.
그는 누군가를 구하고 싶었고, 진실을 외면하지 않으려 했다.
하지만 결국 그는 죽는다.
그리고 그의 죽음은 단지 개인의 운명이 아니라, 그 시대 전체의 슬픔이 된다.

작가는 이 슬픔을 매우 절제된 문체로 담아낸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으면서도, 그 고통을 회피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은 시끄러운 울음보다 더 강력한 조용한 절규로 다가온다.


■ 왜 지금, 우리는 이 책을 읽어야 할까

『소년이 온다』는 과거를 이야기하지만, 과거에만 머물지 않는다.
폭력과 진실의 은폐, 말하지 못한 자들의 상처, 그리고 여전히 반복되는 역사.
그 모든 것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정말 진실을 마주하고 있는가?”
“기억한다는 건, 어떤 책임을 동반하는가?”

이 질문들은 단지 소설 속 인물들에게만 던져지는 것이 아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던져진다.
그래서 이 책은 슬프지만, 반드시 읽어야 할 문학이다.


📌 『소년이 온다』를 읽으며 얻는 것

  • 기억의 중요성: 망각은 쉽지만, 기억은 선택이고 책임이라는 사실
  • 연대와 위로: 고통을 나누고 함께하는 것의 힘
  • 문학의 역할: 말하지 못한 자들의 이야기를 대신 말하는 목소리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역사와 현실을 성찰하는 문학을 읽고 싶은 분
  • 한강 작가의 섬세하고 묵직한 문체를 좋아하는 독자
  •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문학적으로 이해하고 싶은 사람
  •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작품에 관심 있는 독자

✍️ 마무리하며

『소년이 온다』는 가볍게 읽히지 않는다.
한 줄 한 줄이 무겁고, 장면 하나하나가 아프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그 소년은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아직 살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소년이 다시는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하고, 기록하고, 전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