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별하지 않는다』 – 끝나지 않은 아픔과 기억의 서사

728x90
반응형

 

한강이라는 이름만으로도 기대하게 되는 작가가 있다. 섬세한 문장, 고요한 울림, 그리고 치열한 삶과 죽음의 경계를 탐색하는 시선. 『작별하지 않는다』는 그런 한강의 세계관이 응축된 작품이다. 이 소설은 그 자체로 하나의 기억이고, 애도이며, 동시에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현실’에 대한 기록이다.


■ ‘잊지 않겠다’는 문장보다 더 깊은 이야기

소설은 세월호 이후, 실종자 가족의 슬픔과 아픔, 그리고 그 상처를 바라보는 한 인간의 시선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이 작품은 단순한 추모나 고발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말해지지 않는 것들’을 어떻게 살아내야 하는지를 묻는다.

주인공은 실종자의 가족을 친구로 두고 있다. 하지만 그 친구는 갑작스레 혼수상태에 빠지고, 주인공은 친구의 집에서 그녀의 흔적과 이야기를 더듬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것은 개인의 슬픔을 넘어, 집단적 상처, 기억의 책임, 그리고 인간이 인간에게 저지른 폭력의 역사다.


■ 고통을 기억하는 방식, 문학의 몫

한강의 문장은 언제나처럼 절제되어 있다. 하지만 그 속에 담긴 정서의 깊이는 결코 가볍지 않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목소리를 높이지 않는다. 대신 낮은 숨결로 말한다. "나는 잊지 않을 것이다", "이 고통을 말하겠다"는 외침은 드러나지 않지만, 독자는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 고요한 분노와 연대를 느낀다.

이 책은 죽은 자가 아니라 남겨진 자들의 이야기다. 끝나지 않은 사건, 설명되지 않은 감정, 해명되지 않은 진실. 그것들이 켜켜이 쌓여 ‘작별조차 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든다. 그렇기에 작별하지 않는다는 말은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 저항이자 다짐이다.


■ 문학이 할 수 있는 가장 정직한 애도

한강은 이 소설에서 세월호라는 명확한 사건을 직접 언급하지 않는다. 대신 독자는 이야기 속 단서들, 이름 없는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그 현실을 떠올리게 된다. 문학적 은유와 상징이 오히려 현실보다 더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순간이다.

이 소설을 읽으며 느낀 건, 작가는 단지 이야기꾼이 아니라 ‘기억의 기록자’라는 점이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아픔을 외면하지 않고, 그것을 끝까지 바라보는 문학의 책임감을 보여준다.


■ 지금, 우리에게 이 소설이 필요한 이유

현대사회는 너무 빠르게 흘러간다. 잊히는 속도는 뉴스보다 빠르고, 사람들은 더 이상 같은 감정에 머무르지 않는다. 하지만 어떤 아픔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어떤 사람들은 아직도 작별하지 못했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그런 사람들과 함께하는 문학이다. 고통에 말 걸고, 기억을 붙잡고, 끝까지 손을 놓지 않는 마음. 이 소설은 바로 그런 마음에서 비롯되었다. 읽고 나면 말없이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리고 조용히 되뇐다. 나도, 작별하지 않겠다고.


📌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 사회적 아픔과 인간의 기억에 대해 생각하고 싶은 분
  • 한강 작가의 섬세한 문체를 좋아하는 독자
  • 말하지 못한 감정을 문학으로 위로받고 싶은 사람
  • 세월호 이후의 한국 사회를 문학적으로 성찰하고 싶은 분

✍️ 마무리하며

『작별하지 않는다』는 문학이 어떻게 ‘기억의 기록자’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겁고 아픈 이야기지만, 반드시 읽어야 할 이유가 있다.
그 기억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고, 누군가는 그 끝나지 않은 기억을 계속해서 말해야 하기 때문에.

728x90
반응형